농업박물관 소식
구독하기
밭갈이를 시작하는 계절, 봄ㅣ 농업박물관 소식 2025 봄호
2025. 4. 16.
밭갈이를 시작하는 계절, 봄ㅣ 농업박물관 소식 2025 봄호
오랜 세월 채집과 수렵 생활로 식량을 마련했던 인류는 점차 인구 수가 늘어나면서 안정적으로 식량을 구할 수 있는 이른바 '재배하는 농업'의 단계로 접어들었습니다. 이때부터 농업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다양한 농기구도 등장하기 시작했는데요, 그 중에서도 소를 이용해 밭을 가는 '쟁기'의 등장은 농업사의 위대한 한 걸음이었습니다. 쟁기와 경운기를 거쳐 현대의 트랙터의 이르기까지 갈이용 농기계가 이끈 농업의 변화를 알아 봅니다.
고금박물지
농업관 2의 마지막 코너 〈내일의 농업〉이 새로운 모습으로 단장했습니다. 기후위기 대응부터 스마트팜, AI 농업기술까지, 우리가 바라는 농업의 내일을 만나 보세요.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지난해 성공적으로 진행된 외암민속마을과의 교육 프로그램을 돌아보며 해답을 찾아 봅니다.
전문가의 시선
세종대에 편찬한 『농사직설』은 우리나라의 농업 경험을 토대로 만들어진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농서입니다.
선조들의 순환적 농사가 현대의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과거에서 온 편지
교육 프로그램 기획부터 전시품 선정까지 박물관 곳곳을 세심하게 검토하며
관람객들에게
더 큰 즐거움을 선사하기 위해
노력한
황수철 초대 관장. 그가 생각하는 농의 가치와 국립농업박물관의 역할은 무엇은 무엇일까요?
내일을 여는 사람들
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모든 유물은
꼼꼼하고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국가 지정 문화유산
보물
『정약용 행초 다산사경첩』의 정기조사 과정을 함께 살펴보며 우리 박물관 소장 유물의 조사, 보존, 관리 과정을 알아 봅니다.
지금 박물관에서는
밥상을 화사하게 수놓는 조선의 '진달래지짐이' 레시피와 박물관의 다양한 봄맞이 행사를 확인해 보세요.
오늘 우리들
딸기 표면에 있는 수십 개의 점들이
사실 씨앗이 아니라 ○○라구?
우리가 몰랐던 딸기의 비밀!
뒷마당 텃밭
여러분이 알고 있는
‘농’의 여름
은 어떤 모습인가요?
쑥쑥 자라는 초록 들판, 비 오는 날의 오두막, 냇가의 개구리, 각종 농촌 행사 등
여름철 농촌과 관련된 사진을 찍어 감상과 함께 보내 주세요.
추첨을 통해 여름과 관련된 선물을 보내 드립니다.
찰칵! 우리의 계절
놓치기 아쉬운 박물관 알짜 뉴스
『농업박물관 소식』을 구독해주신 여러분께
앞으로
매월,
국립농업박물관 일정을 이메일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4~5월 즐길 거리
를 소개할게요.
알짜 정보만 알려드릴게요.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
[전시]
테마전 <농생꿀팁>
(~7/27)
[행사]
어린이날 행사 <꼬마농부 미오네 집으로 놀러와!>
(5/3~5/5)
[행사]
제29회 포럼 <
도시 양봉가들: 도시와 생태를 연결하다>
(4/30)
[행사]
제30회 포럼 <구전음식: 말, 맛, 그리고 기억>(5/28)
[교육]
봄 상설체험 <우리 반상 차리기>
(~6/29)
[교육]
상반기 가족교육 <이상한 약초가게 두두당>
(~6/29)
사전 예약 필수
[교육]
어린이대상 미래농업 체험교실 <메리골드의 비밀>
(4/19)
사전 예약 필수
월간 일정 캘린더
국립농업박물관
magazine@namuk.or.kr | 031-324-9114, 9115
(16429)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54
공유하기
농업박물관 소식
을 구독하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농업과 박물관 관련 흥미로운 콘텐츠를 전달하는 국립농업박물관 소식지입니다.
구독하기
이전 뉴스레터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는 박물관 소식 ㅣ 농업박물관 소식 2024 겨울호
2025. 1. 9.
다음 뉴스레터
이 뉴스레터가 마지막 뉴스레터입니다.
농업박물관 소식
농업과 박물관 관련 흥미로운 콘텐츠를 전달하는 국립농업박물관 소식지입니다.